4차 산업혁명의 시대 패시브 인컴 (passive income) 이란? 노동이 거의 없이 돈을 벌 수 있는 스마트스토어, 유튜브, 전자책 등등 자동형 일을 말한다.
반대로는 액티브 인컴 (Active income) 이란?
일반적으로 자신의 노동과 시간을 들여서 수입을 유지하려는 방식의 대부분 사람들의 일의 형태인 노동형 소득을 말한다.
7부에서 말한 자본 없이 건물주 되기..
예를 들어 맘카페나 파워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을 보면 인터넷상의 건물주라고 보면 된다.
인터넷상의 건물을 자본 없이 지어놓고 임대를 해주듯이 광고 수익료로 월 1000~30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을 버는 분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그것도 부업으로 말이다)
부러우면 진다고 했나?
당신도 할 수 있다.
지금 시대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시대를 모르면 퇴보된다.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시스템과 기기를 연결하고 스마트화되었다.
이제는 컴퓨터 하나만 있으면 장소와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어디서나 자유롭게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요즘 일을 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경제적 자유를 누리는 꿈을 꾸는 것 같다.
주식투자의 대가인 워런버핏은?
"당신이 자고 있는 동안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한다면 당신은 죽을 때까지 일할 것이다"
라는 말을 남겨 패시브 인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잠자는 동안 돈을 벌 수 있다니 정말 꿈만 같은 이야기다.
그러나 요즘처럼 인터넷이 발달한 시대에는 그런 일들이 실제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패시브 인컴이라고 하면 기존 세대는 (펀드, 부동산, 적금, 보험)등의 자산에서 관리하는 돈을 많이들 생각하는데...
요즘은 블로그와 유튜브, 쇼핑몰, 스마트스토어, 인터넷 제휴마케팅, 전자책을 통해 자고 있는 동안에도 돈을 벌어들인다.
패시브인컴의 대표들이다.
필자의 경우도 이게 과연 될까?
궁금해서 시험 삼아 전자책을 써보았는데 정말 적은 돈이지만 자고 일어나면 책이 팔리고 돈이 벌어진다는 게 확인되었다.
누구는 전자책 한 권으로 한 달 1억 이상 매출을 올리기도 한다.
이렇게 말하면 그런 사람들은 글 쓰는 재주가 있겠지?
특별한 스펙이 있겠지?
난 글재주도 없고 스펙도 전혀 없으니 나 하고는 상관없다고 생각이 들것이다.
그건 여러분 생각이다.
70세 평범한 일반 할머니가 전자책 하나로 월 몇천을 벌기도 한다.
방법이 있다.
하지만 자세히 알려고 들지도 않는다.
시작도 전에 포기 ㅎㅎ
도전해 보자.
기회가 되면 전자책 쓰는 방법에 대해서도 글을 써 올려놓겠다.
예전에는 55세에 퇴직하여 퇴직금으로 뭔가 할 것들이 많았던 시대였다.
치킨집이나 프랜차이즈를 하며 왕년에 경험담을 친구들과 나누며 늙어갈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치킨집이나 프랜차이즈 개업도 이미 레드오션이다.
실패 가능성이 80%를 넘는다고 한다.
비공식적으로 은퇴하는 시점도 75세로 상향되었고 이것은 연금 외 소득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매일같이 직장과 집만 오가다 보면 내 시간의 대가로 돈을 받는 거 외의 소득에는 신경을 못쓴다.
하지만 작가, 유튜버, 예술가, 블로거는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소득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소득의 파이프라인을 생각해 보자.
나이 들어서 내 노동의 가치가 떨어졌을 때를 대비하는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작업을 해 두지 않으면 정말 은퇴 후 많은 자괴감에 빠질 수가 있다.
당신이 아파서 병원에 1년 동안 누워 있다면 여러분은 한 달 얼마의 소득이 발생하는지 생각해 보자?
소득이 있다면 다행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0원이다.
이제 당신의 미래를 대비해야 할 때이다..
이제 글이 거의 막바지다 마지막 결론은 10부에 마무리하겠다.
9부에서 만나요~~^^
댓글